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로의 계단
- 각 시대의 대쟁투
- 엘가나
- 부조와 선지자
- 요나
- 시편
- 성경일독학교 1학년
- 전도서
- 누가복음
- 성경일독학교
- 교육
- 잠언
- 교회증언
- 아가
- 요한복음
- 이사야
- 마태복음
- 실물교훈
- 성경 퀴즈
- 선지자와 왕
- 열왕기하
- 창세기
- 산상보훈
- 성경퀴즈
- 마가복음
- 치료봉사
- 역대상
- 성경일독학교 2학년
- 시대의 소망
- 아모스
- Today
- Total
목록성경주석/사무엘하 (25)
BIBLE STORY
사울가의 내분과 몰락은 가속화되었고, 마침내 이스보셋은 레갑과 바아나라고 하는 두 측근들에 의해 피살되었다. 그들은 다윗에게 인정받으려는 속셈에서 이스보셋의 머리를 베어 다윗을 찾아갔다. 하지만 다윗은 그들의 간교한 저의를 간파하고서 그들을 처단하였다. 이는 통일 왕국을 이룩함에 있어 사람의 권모술수나 폭력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은혜와 공의를 바탕으로 삼고자 했던 다윗의 의중을 표현한 것이다. 4절은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이 극정으로 도망하는 중에 절뚝발이가 된 상황을 잠시 소개하고 있다. 1. 이스라엘이 아브넬의 죽음에 놀람.2. 바아나와 레갑이 이스보셋을 죽이고 그의 머리를 헤브론으로 가져옴.9. 다윗이 그들을 죽이라고 명하고 이스보셋의 머리를 장사지냄. 1.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아브넬의 헤브론..
다윗가와 사울가 사이에 오랜 전쟁이 지속되는 동안 사울가는 더욱 몰락해 갔던 반면에 다윗가는 점점 강성해졌다. 2~5절에 언급된 다윗 아들들의 출생 기사는 다윗가의 강성함을 보여 주려는 의도에서 소개되었다. 다윗이 여러 아내들을 거느린 것은 당시 사회에서는 통념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성경의 가르침과는 어긋나는 일이었다. 한편, 사울가의 군대 장관이었던 아브넬은 사울의 첩과 통간함으로써 이스보셋의 분노를 유발하였다. 그래서 기회주의자 아브넬은 다윗 편으로 전향하였다. 다윗은 동족상잔의 비극을 가급적 억제하고 통일 왕국을 건설하기 위해 아브넬에게 관대하게 대했으며, 이로 인해 요압이 불만을 품고서 마침내 아브넬을 살해하고 말았다. 1. 전쟁 동안에도 다윗은 계속 강대해짐.2. 헤브론에서 다윗의 여섯 아들이 태..
다윗이 헤브론에서 유다의 왕으로 즉위하자 아브넬은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삼아 다윗과 대치했다. 얼핏 생각하면, 사울 왕가를 이으려고 했던 아브넬의 행동은 너무도 당연한 듯이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다윗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삼고자 하신 하나님의 섭리를 정면으로 거스리는 행위였다. 기브온 못을 사이에 두고 다윗 군대와 이스보셋 군대간에 치열한 접전이 벌어졌다. 이 전투는 마침내 다윗 군대의 승리로 마감되지만, 그 과정에서 아브넬이 요압의 아우인 아사헬을 살해하는 불상사가 발생하였다. 1. 하나님의 지시로 다윗이 자신의 권속과 함께 헤브론으로 올라가 거기서 유다 족속의 왕이 됨.5. 다윗은 길르앗 야베스 사람들이 사울에게 베푼 친절을 칭찬함.8. 아브넬이 이스보셋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삼음...
사무엘하는 통일 이스라엘 왕국의 왕으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던 다윗에 관한 기록이다. 사무엘상과 본서를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1장에는, 다윗이 초대 왕 사울의 전사 소식을 듣고 크게 슬퍼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사울의 전사 소식을 가지고 온 아말렉인은 다윗에게서 큰 상급을 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자신이 사울을 죽였노라고 자랑했다. 하지만 다윗은, 비록 자신을 죽이기 위해 노심초사했던 사울이었지만, 하나님의 기름부으심을 받은 자였던 그와 그의 아들 요나단의 죽음을 진심으로 슬퍼했다. 그래서 그 아말렉인을 즉시 죽였으며, 사울과 요나단을 위한 조가를 직접 지었다. 1. 어떤 아말렉 사람이 패배의 소식을 전하고 자기가 사울을 죽였다고 고하므로 죽임을 당함.17. 다윗이 사울과 요나단을 노래로 애도함. 1. ..
1. 명칭오늘날 사무엘상/하로 알려져 있는 두 책은 1517년 전에 있었던 모든 히브리어 필사본에는 한 권으로 나타나 있다. 이 책이 두 부분으로 나뉜 것은 BC 3세기경에 있었던 구약의 헬라어 번역에서였다. 70인역에서 이 두 부분은 "왕국들 제1부", "왕국들 제2부"라고 나타나 있다. 사무엘의 생애와 봉사가 책의 전반부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마지막 사사, 가장 위대한 선지자 중 한 사람, 선지자 학교의 창시자, 그리고 히브리 왕국의 설립을 주도하고 나라를 운영해 나갈 근본적인 원칙의 기초를 놓은 사람으로서 수행한 그의 중요한 역할을 볼 때 이 제목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근본적으로, 사무엘이라는 이름은 저자보다는 내용을 가리키는 것이다. 2. 저자오경의 어떤 부분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