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열왕기하
- 각 시대의 대쟁투
- 창세기
- 역대상
- 마가복음
- 성경일독학교 1학년
- 전도서
- 누가복음
- 산상보훈
- 아가
- 아모스
- 교육
- 선지자와 왕
- 이사야
- 정로의 계단
- 마태복음
- 교회증언
- 요나
- 부조와 선지자
- 성경퀴즈
- 성경 퀴즈
- 시대의 소망
- 치료봉사
- 잠언
- 시편
- 요한복음
- 성경일독학교 2학년
- 엘가나
- 성경일독학교
- 실물교훈
- Today
- Total
목록성경주석/아가 (9)
BIBLE STORY
본서의 결론부에 이르러, 신랑 신부는 서로 사랑을 확인하며 그 사랑이 영원히 지속되기를 간절히 소망하고 있다. 먼저, 신부는 솔로몬과의 관계가 더 순수하고 확고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차라리 남매 사이였으면 하고 바란다(1~2절). 5~7절에서 신랑은 그 무엇도 자신과 신부와의 사랑을 단절시킬 수 없음을 확고한 어조로 단언한다. 이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불가분적 관계를 시사한다. 이제 신랑 신부는 한마음 한뜻이 되어 첫사랑 때 부르던 옛 연가를 부른다(13절). 본서는 아름답고 달콤한 노래 소리와 함께 사랑하는 두 사람이 꽃이 만발한 언덕으로 달려가는 장면으로 끝을 맺고 있다. 1. 그리스도에 대한 교회의 사랑.6. 사랑의 열정.8. 이방인을 부름.14. 교회가 그리스도의 오심을 기원함. 1. 네가 내 어미..
신부의 아름다운 자태를 찬탄하는 신랑의 노래가 이어진다(1~9절). 신랑이 느끼는 사랑의 기쁨과 감격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다. 이어서 신부는 사랑의 고백으로 화답한다(10~13절). 시련을 통과한 신부로서는 이제 아무런 욕심이나 거리낌 없이 완전한 사랑을 바치겠다고 고백한다. 이는 나 중심에서 그리스도 중심으로 변화되는 성도들의 신앙 진전 과정을 잘 보여 준다. 전폭적으로 주님을 의지하고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바치는 것이야말로 신앙의 가장 높은 경지라 하겠다. 1. 교회의 아름다움을 추가적으로 기술함.10. 교회가 믿음과 소망을 천명함. 1. 귀한 자의 딸아 신을 신은 네 발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 네 넓적다리는 둥글어서 공교한 장색의 만든 구슬 꿰미 같구나 2. 배꼽은 섞은 포도주를 가득히 부..
여기서 사랑의 갈등은 극복된다. 신부는 간절한 마음으로 신랑을 찾아 나섰고(1~3절), 신부와 만난 신랑은 그녀의 아름다움과 순결함을 또다시 노래하였다(4~10절). 특히, 2장 16절에서는 신부가 이르기를 '사랑하는 자가 내게 속하였다'라고 했으나, 여기서는 '나는 나의 사랑하는 자에게 속하였다'라고 말한 점에 유의하자(3절). 이는 '나 중심'의 사랑에서 '너(신랑) 중심'의 사랑으로 성숙한 모습을 보여준다. 우리의 신앙도 처음에는 자기중심의 미숙한 차원에서 시작되지만, 점차 '그리스도 중심'으로 성숙해 가야 한다. 1. 교회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천명함.4. 그리스도가 교회의 아름다움과10. 교회에 대한 그의 사랑을 보여줌. 1. 여자 중 극히 어여쁜 자야 너의 사랑하는 자가 어디로 갔는가 너의..
본장에서는 사랑의 시련이 소개된다. 사랑의 훼방꾼인 '작은 여우'(2:5)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사랑의 훼방은 외부에서 온 것이 아니라 바로 신부 자신의 내면에서 비롯되었음에 유의하자. 그녀는 마냥 사랑을 독차지한다고만 생각하여 신랑에게 소홀히 대한 것이다(3절). 우리의 신앙생활도 때로는 영적 방종과 나태로 말미암아 위기에 처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모든 시련 가운데서도 신부는 신랑을 원망하거나 미워하지 않고 그 아름다운 모습을 마음속에 그리며 일편단심으로 사모한다(10~16절). 자신의 실수로 신랑과 멀어졌다고 생각하니 사모하는 마음은 더욱 간절해졌다. 1. 그리스도가 교회를 불러서 깨움.2. 교회가 그리스도의 사랑을 맛보고 사랑으로 병이 남.9. 그리스도가 그의 아름다움을 묘사함. ..
신랑이 신부의 순결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극찬하며 애정을 표현하는 내용이다. 신랑 솔로몬은 사랑하는 신부의 자태를 일곱 가지로 나누어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나의 사랑', '나의 누이', '나의 신부' 등과 같은 표현은 그의 사랑이 전인격적이며 전폭적이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성도들이 신랑 되신 그리스도의 순결한 신부라는 사실과 그분과의 신비한 연합이 곧 교회의 본질임을 엿볼 수 있다. 본장 끝에 이르러, 마침내 결혼식이 시작되며(16절), 신랑은 친구들을 초청하여 성대한 잔치를 베푼다(5:1). 1. 그리스도가 교회의 아름다움을 열거함.8. 그가 교회에 대한 그의 사랑을 보여 줌.16. 그가 임재하기에 합당하게 되도록 교회가 기원함. 1. 내 사랑 너는 어여쁘고도 어여쁘다 너울 속에 있..
1~5절에서는 연인을 사모하는 여인의 마음을 극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리스도를 사모하는 성도들의 열정도 이러해야 할 것이다. 때를 맞추어 솔로몬도 술람미와의 결혼 예식을 앞두고 그녀를 왕궁으로 불러들였다(6~11절). 신부를 위해 온갖 보석과 향품으로 꾸민 가마를 육십 명의 호위병과 함께 보낸 것이다. 이는 신랑되신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을 부르사, 죄의 상태로부터 의의 상태로, 속박으로부터 자유로, 그리고 수치의 상태로부터 영광에로 나아가게 하시는 사실을 상징한다. 1. 유혹 속에서 싸우고 승리하는 교회.6. 교회가 그리스도 안에서 영광을 누림. 1. 내가 밤에 침상에서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찾았구나 찾아도 발견치 못하였구나 2. 이에 내가 일어나서 성중으로 돌아다니며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거리에서나 큰 길..
본장에 이르러 두 연인의 사랑은 한결 진전을 보인다. 서로 사랑을 고백하며 사모의 일념을 불태우던 중, 술람미 여인은 솔로몬을 그리워한 나머지 병에 걸릴 지경에까지 이르렀다(5절). 하지만 솔로몬의 사랑 또한 그녀의 사랑에 못지 않았다. 그래서 시골의 전원 속에 묻혀 있는 술람미에게 사랑의 초청장을 보내었다.(10절). 두 사람의 사랑의 결실은 점점 더 영글어가고, '나의 사랑하는 자는 내게 속하였고 나는 그에게 속하였구나' 라는 고백(16절)에서 절정에 이른다. 하지만 이와 함께 사랑의 시련에 대한 예고도 제시된다(15절). 1. 그리스도와 교회 상호간의 사랑.8. 교회의 소망과10. 소명.14. 교회를 그리스도가 보호함.16. 교회가 믿음과 소망을 천명함. 1. 나는 사론의 수선화요 골짜기의 백합화로..
본서는 솔로몬과 술람미 여인과의 사랑을 노래한 책으로서, 기독교 교회의 전통적인 해석법에 따르면 이 노래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거룩한 사랑을 비유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서의 전체적인 구조는 4장 16절 ~ 5장 1절을 구심점으로 하여, 주인공들의 독백과 그들 사이에 주고받는 사랑의 노래 및 추억에 대한 회상으로 엮어져 있다. 1. 그리스도에 대한 교회의 사랑.5. 교회가 자신의 결함을 고백하고,7. 양떼에게 인도해 줄 것을 간청함.8. 그리스도가 교회를 목자의 장막으로 인도함.9. 그리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교회에 나타내고,11. 은혜로운 약속을 함.12. 그리스도와 교회가 서로 축하함. 1. 솔로몬의 아가라 2. 내게 입맞추기를 원하니 네 사랑이 포도주보다 나음이로구나 3. 네 기름이 향기로와 아름답고 네..
1. 표제 이 책은 일반적으로 솔로몬의 아가라고 알려져 있다. 그것의 라틴어 이름은 칸티쿰 칸티코룸(Canticum Canticorum)인데, 여기 아가(Canticles)라는 단어가 나왔는데 줄여서 캔트(Cant)로 쓴다. 히브리어로는 쉬르 핫쉬림(Shir Hashshirim)이라고 하는데 그 뜻은 “노래 중의 노래”(the song of songs) 즉 “솔로몬의 많은 노래 중에 가장 좋은 노래”란 뜻으로 쓰여진다. 이는 마치 “왕 중 왕”이 “최고의 왕”이란 뜻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솔로몬은 “삼천 잠언을 말했고 그의 노래는 일천 다섯개였다”(왕상 4:32). 그의 잠언들 중의 한 권은 히브리 구약성서에 수록되어 있는데, 그의 노래 중에서 히브리 경전에 포함된 것으로서는 아가 밖에 없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