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마태복음
- 성경일독학교 2학년
- 시편
- 이사야
- 실물교훈
- 마가복음
- 치료봉사
- 아가
- 교육
- 시대의 소망
- 열왕기하
- 각 시대의 대쟁투
- 누가복음
- 창세기
- 전도서
- 선지자와 왕
- 성경 퀴즈
- 성경일독학교 1학년
- 교회증언
- 아모스
- 정로의 계단
- 성경일독학교
- 엘가나
- 잠언
- 역대상
- 요나
- 부조와 선지자
- 산상보훈
- 성경퀴즈
- 요한복음
- Today
- Total
목록성경주석/요나 (5)
BIBLE STORY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속담이 있다. 요나는 여기서 이 같은 왜곡된 인간 심성을 표출한다. 그는 국가적인 회개를 통해 심판이 연기된 니느웨 성을 탐탁치 않게 여기고 이스라엘의 대적국인 니느웨에 은혜를 허락하시는 하나님의 섭리에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아직도 만인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과 구속 계획을 깨닫지 못하고 편협한 국가 이기주의에 빠져 있었다. 하나님은 박 넝쿨을 통해서 요나의 오해를 지적하셨다. 1. 요나가 하나님의 자비에 대해 불평함.4. 요나가 박 넝쿨 표상을 통해 질책을 받음. 1. 요나가 심히 싫어하고 노하여 2. 여호와께 기도하여 가로되 여호와여 내가 고국에 있을 때에 이러하겠다고 말씀하지 아니하였나이까 그러므로 내가 빨리 다시스로 도망하였사오니 주께서는 은혜로우시며 자비로우시며 ..
위기의 상황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체험한 요나는 다시 한번 사명을 부여받는다. 그것은 이전에 받았던 사명과 동일하였다. 하나님은 죄인을 일으키실 뿐 아니라 사명자의 임무까지 주심으로서 그를 또다시 신임하셨다. 이에 요나는 충성으로 화답하였다. 그의 전도로 니느웨 성은 국가적인 회개를 하였다. 니느웨 성의 최고 치리자에서부터 일개 평민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으로 회개하였다는 것은 '기적'과 다름없었다. 하나님의 말씀은 능력이 있으며 그 능력은 모든 사람을 무릎 꿇게 만든다. 1. 요나가 다시 보냄을 받아 니느웨 사람들에게 전파함.5. 니느웨 사람들이 회개하였으므로10. 하나님께서 돌이키심. 1. 여호와의 말씀이 두번째 요나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2. 일어나 저 큰 성읍 니느웨로 가서 내가 네게 명한 바를 그들에..
하나님은 당신의 뜻대로 긍휼히 여기기도 하시고 강퍅케도 하신다. 일단 사명자로 부르시면 그를 끝까지 책임지는 분이시다. 하나님은 요나를 물고기 뱃속에 삼키게 함으로써 그의 불순종을 한 번에 무력화시키셨다. 당신의 뜻을 관철시키기 위한 일종의 비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어쨌든 요나는 고난의 현장에서 철저한 회개를 실행하였다. 바로 여기에 요나의 신앙적 면모가 드러나 있다. 죄인은 하나님의 징계에 처하여 더 사악해지나 하나님의 사람은 심령을 찢음으로 주를 의지한다. 1. 요나의 기도.10. 요나가 물고기로부터 구원받음. 1. 요나가 물고기 뱃속에서 그 하나님 여호와께 기도하여 2. 가로되 내가 받는 고난을 인하여 여호와께 불러 아뢰었삽더니 주께서 내게 대답하셨고 내가 스올의 뱃속에서 부르짖었삽더니 주께서..
구약에서 하나님의 구원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방 민족이 완전히 구원의 반열에서 제외되지는 않았다. 하나님은 언제나 구원의 문을 열어 놓고 만인을 초청하고 계신다. 요나가 니느웨에 전도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거부하고 다시스로 도망한 것은 바로 이 같은 하나님의 뜻을 잘못 해석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그의 행위는 당시의 역사적, 정치적 정황을 고려해 볼 때 자연스러웠을지 모른다. 그러나 지나친 배타주의와 고질적인 선민 사상이 하나님의 섭리를 방해하는 것임을 요나는 깨달아야 했다.\ 1. 요나가 니느웨로 보냄을 받았으나 다시스로 도망감.4. 그의 신분이 폭풍우로 인해 폭로됨.11. 요나가 바다에 던져짐.17. 물고기가 요나를 삼킴. 1. 여호와의 말씀이 아밋대의 아들 요나에게 임..
1. 표제 이 책은 주요 등장 인물인 요나의 이름을 따서 명명 되었는데 그 의미는 “비둘기”라는 뜻이다. 요나 즉 비둘기라는 말은 아가서에서 사랑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아 2:14; 5:2; 6:9). 2. 저자 요나서 자체에는 요나가 저자라고 명시된 구절이 없지만 그가 저자라는 사실이 전통적인 견해가 되어왔다. 많은 현대 학자들은 요나가 역사상 실제 인물이라는 것을 꼭 부인하려고 하지는 않지만 저자가 바벨론 포로 이후의 사람일 것이라는 생각을 더 좋아한다. 그러나 그들이 제기하는 의견들은 아람어법이 실재하느냐하는 문제와 마찬가지로 결론을 보지 못하고 있다. *우가릿(Ugaritic) 방언의 연구로 말미암아 이전에는 비교적 후대에 속한다고 주장되었던 많은 단어들과 문형들이 고대의 것임이 드러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