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누가복음
- 성경일독학교
- 성경일독학교 1학년
- 아모스
- 산상보훈
- 성경 퀴즈
- 열왕기하
- 역대상
- 요한복음
- 각 시대의 대쟁투
- 잠언
- 정로의 계단
- 실물교훈
- 교회증언
- 치료봉사
- 창세기
- 시편
- 부조와 선지자
- 아가
- 성경퀴즈
- 시대의 소망
- 선지자와 왕
- 성경일독학교 2학년
- 이사야
- 마가복음
- 엘가나
- 요나
- 마태복음
- 교육
- 전도서
- Today
- Total
목록성경일독학교 2학년 (75)
BIBLE STORY
아삽의 시.사무엘이 사울에게 했던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숫양의 기름보다 나으니”(삼상 15:22)라는 유명한 말이 시 50편의 주제로 적절한 듯이 여겨진다. 이 시는 본래 교훈을 주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오늘날에도 그 가치가 매우 큰 시이다. 이 시는 최후의 심판에 적용될 수 있는 심판에 대한 장엄한 묘사를 배경으로 하여(1~6절) 마음의 신실함과 행위의 순전함은 결여된 채 종교적 의식만을 따라 행하는 경배자들에 대한 책망의 기별을 펼쳐놓는다. 이 시의 본문은 단순한 형식주의적 예배의 악함에 대한 정죄(7~15절)와 위선에 대한 정죄(16~21절) 등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간결한 결론이 이 시의 기별을 요약한다(22, 23절).* 아삽 : 아삽은 레위인으로서 다윗의 찬양대 지도자들 중..
고라 자손의 시, 영장으로 한 노래.시 49편은 “왜 부자들이 삶에서 더 행복한 것처럼 보이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담고 있다. 이 시는 재산이 죽음을 연기시킬 수 없다는 것과 죽을 때에는 부자들도 가난한 자들과 마찬가지의 비천한 상태로 떨어지게 된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이 교훈시는 처음 네 절을 서론에 할애한 후 5절부터 특별히 이 땅의 부유한 자들에게 초점을 맞추면서 인생무상을 다룬다(5~13절). 그런 후에는 악인들의 최종적 운명과 완전한 대조를 이루는 의인들의 최종적 운명, 곧 영생으로부터 얻게 될 위로에 관해서 이야기한다(14~20절). 오늘날 정통 유대교 가정에서는 가족들 중 누가 죽으면 그때부터 시작되는 한 주일의 애도 기간에 이 시를 암송한다. * 1절 : 만민들아[뭇 백성들아,..
고라 자손의 시 곧 노래.시 46편과 47편처럼 시 48편도 성전 예배에 사용하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구원의 노래이다. 이 시는 여호와가 예루살렘을 돌보고 원수의 손에서 그의 백성을 건져냄을 송축하는 시이다. 시 48편은 다윗이 지은(참조 선지자와 왕, 203) 기쁨에 넘치는 시들 중 하나이다. 이 시는 여호사밧의 군대가 빛나는 승리를 거둔 후 노래한 시이다(참조 선지자와 왕, 201~203). *1절 : 광대하시니[위대하시니].다윗은 자신을 큰 위험에서 건져내는 자로 드러낸 여호와께 드높은 찬양으로 이 시를 시작한다(4~8절). * 2절 : 터.“높이”가 더 적절한 번역이다. 그 고도가 주변 지역보다 더 높은 것이 예루살렘의 지형적 특성들 중 가장 두드러진 점일 것이다. 도성은 그 나라에서 가장..
고라 자손의 시, 영장으로 한 노래.시 47편은 이스라엘뿐 아니라 땅의 모든 민족의 하나님으로 높임을 받는 여호와께 드리는 가장 순전한 찬양의 송가이다. 이 시는 시 46:10의 주제를 확대시켜 놓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시 46, 47, 48편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공중 예배를 위해 지어진 송가인 시 47편은 두 합창대가 서로 번갈아가며 부른 노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 합창대가 1, 2절과 5, 6절을 부르고, 다른 합창대가 3, 4절과 7, 8절을 불렀으며, 9절은 두 합창대가 함께 노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회당 예배에서는 새해 첫날 쇼파르(s∨opar, [양각 나팔])를 불기 전에 이 승리의 시를 읽는다. 이 날의 의식에서 우주 통치자로서의 여호와의 권위가 강조되었다. 47:..
고라 자손의 시, 영장으로 알라못에 맞춘 노래.시 46편은 루터의 시로 불려 왔는데, 이는 이 위대한 종교개혁자가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이 시를 노래하다가 마침내 의역해서 그가 만든 찬미가 “내 주는 강한 성이요”의 가사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 시는 열방이 대격변을 겪는 중에서도 하나님의 백성은 안전하다는 것을 노래한 장려한 찬송이다. 마지막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시인은 히브리 시가에 두드러진 규칙을 이 시의 형식에 적용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길이가 같은 세 개의 절들이 적절히 배치된 후렴과 셀라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뚜렷이 대조를 이루는 광경들을 보여 준다. 흉용하는 바닷물과 요동하는 산 그리고 잔잔한 시내, 훤화하는 열방과 여호와의 말씀으로 녹아버린 땅, 전쟁의 폐..
고라 자손의 마스길, 사랑의 노래, 영장으로 소산님에 맞춘 것.시 45편은 왕이 공주와 결혼하는 것을 축하하는 결혼 축가이다. 주석자들 중에는 이 시 전체를 메시야 시편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이 시가 부분적으로 메시야 시편이라는 데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6절과 7절은 아버지 하나님이 아들에게 하시는 말씀으로 히 1:8, 9에 인용되었다. 2절도 메시야에 대한 언급으로 여겨져 왔다. “그리스도의 품성의 신성미를 두고 이야기하자면,…예언적 안목을 가지고 그분을 바라본 다윗은 그분에 대해 ‘왕은 인생보다 아름’답다고 말하였다”(산상보훈, 49). 이 말은 또한 다윗이 이 시의 저자라는 사실도 가르쳐 준다. 종종 메시야에 관한 예언이 시가 쓰인 당시의 상황과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주어진 어떤 구절을 적..
고라 자손의 마스길, 영장으로 한 노래.시 44편은 하나님이 개입하셔서 그의 백성을 원수들에게서 건져내 달라는 열렬한 기도이다. 이 시는 다음과 같이 네 연으로 나누어져 있다. 하나님이 옛날에 이스라엘에 행한 선한 일(1~8절), 현재 이스라엘이 처해 있는 곤경의 상태(9~16절), 이스라엘이 이제까지 하나님께 신실히 행하였다고 하는 시인의 주장(17~22절), 이스라엘을 구원해 달라는 하나님을 향한 시인의 탄원(23~26절).* 영장으로 한 노래 : 인도자를 따라 부르는 노래. * 1절 : 우리 열조[조상].하나님의 놀라운 행위들에 관한 이야기가 아버지에게서 아들에게 전해 내려 왔다. “열조의 날”이라는 구절은 가나안 땅에 들어오던 때를 가리킨다. * 5절 : 주를 의지하여[주님 덕분에].승리의 공로가..
시 42편 서론을 참조하라. 또한 43:5에 세 번째로 후렴이 등장하는 것에도 주목하라. 시 43편은 제2권에서 표제가 붙지 않은 유일한 시이다 * 1절 : 경건치 아니한 나라.이는 시인이 자기 나라를 일컫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그 나라가 하나님이 원하시는 길에서부터 멀리 떠나 있음을 알고 있다. * 3절 : 주의 성산[주의 거룩한 산].만일 이 시가 다윗이 예루살렘을 차지한 이후에 쓰여진 것이라면(시 42편 서론을 참조하라) 이 표현은 시온산을 일컫는 것임이 분명하다. 성전이 건축되기 전에는 법궤가 예루살렘의 임시 거처에 안치되어 있었다. 옛 장막은 기브온에 있었다. * 4절 : 수금.제임스왕역에는 하프로 되어 있다. 사람이 자기의 기쁨을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때 음악은 언어의 한계를 훨씬 ..
고라 자손의 마스길, 영장으로 한 노래.시 42편은 다윗이 지은 애처로운 애가이다. 그는 거룩한 예배에 참여하여 기쁨을 누렸던 하나님의 전에서 쫓겨나 “도망하는 신세가 되어 들의 바위틈과 동굴 속에서 피난처를 찾”(교육, 164)고 있었다. 형식이 매우 아름다운 이 시는 각각의 길이가 비슷한 두 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연의 끝에는 후렴이 붙어 있는데, 첫째 연의 후렴은 5절에, 둘째 연의 후렴은 11절에 나온다(그리고 세 번째 것은 시 43:5에 나온다). 시 42편과 43편을 하나의 시로 여기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들은 그 근거로 다음과 같은 이유들을 제시한다. 몇몇 히브리어 필사본이 이 두 시를 하나로 묶어 놓았고(시 42편에서 두 번 되풀이되는 후렴이 시 43편의 마지막 부분에 다시 나온다), ..
다윗의 시, 영장으로 한 노래.시 41편은 시인이 그의 생애에서 중병에 걸려 있던 때를 다룬 시이다. 시인은 이전에 자기의 친구였던 자들이 지금은 배신자가 되어 있는 것을 깨닫고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큰 고통을 느낀다. 이 시는 궁핍한 사람들을 사랑으로 보살피는 사람들에게 내리는 복에 대한 기술로 시작하여, 계속해서 이전에 친구였던 자들의 배반을 묘사하고, 마침내는 회복을 염원하는 소망 기도로 끝을 맺는다. 이 시는 시 38편을 닮은 시이다. * 1절 : 권고하는[보살피는].그는 도울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한다. 이것은 그저 베풀기만 하는 자선 행위가 아니다. 이 동사에는 가난이나 질병 등과 같은 문제의 적절한 해결책을 포함한 사회 경제학의 기본 원칙이 내포되어 있다. * 2절 : 여호와..